HTTP/2 (HyperText Transfer Protocol Version 2)

HTTP/2(Hypertext Transfer Protocol Version 2)



웹의 HTTP protocol 규정된  웹에서 사용하게  HTTP protocol 2번째 버전이다


HTTP/1.1 기본적으로 connection 하나의 요청을 처리하도록 설계 되어있다


 동시전송이 불가능하고 request response 순차적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다르게 HTTP/2 connection 여러 개의 메시지를 주고 받을  있으며(multiplex stream) response 순서에 상관없이 stream으로 주고 받는다.


순서가 필요한 경우에는 stream priority 이용하여 해결해준다


또한 HTTP/1.1 header 커서 느린데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Huffman coding’, ‘header table’  활용하여 기존 header 크기 대비 1/3 정도로 감소했다


마지막으로, server push라는 작업으로 속도를 더욱  빠르게 했다


이는클라이언트가 요청하지 않은 리소스를 server 알아서 보내는 것이다


이로서클라이언트의 request 적어져서 속도가 향상된다.





'SW > 데이터통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웹소켓 (Web Socket)  (0) 2017.09.05
HTTP header  (0) 2017.09.05
HTTPS (Hyper Text Transfer Protocol Secure)  (0) 2017.09.05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 Protocol  (0) 2017.09.05
통신 프로토콜 (Protocol), OSI 7 계층  (0) 2017.09.05

HTTPS (Hyper Text Transfer Protocol Secure)

HTTPS(Hyper Text Transfer Protocol Secure)


소켓 통신에서 일반 텍스트를 이용하는 대신에 SSL이나 TLS protocol 이용하여 session 데이터를 암호화를 하며, TCP/IP port 443 이다.


여기서SSL hand-shake 통해서 client 올바른 server 통신하게 해주고, data 주고받을  암호화를 해준다.


 HTTPS 사용 목적으로는 User 원하는 Server 직접 소통할 있고, Server만이 User data 읽을 있다는 점에 있다.


여기서 TLS SSL 기반으로 업그레이드한 protocol이다.


또한, 암호화 방식으로 공개키 방식 사용하는데, 이는 2개의 키를 가지고 하나는 암호화 나머지 하나는 복호화를 하는 것이다.


이러한 과정에서 속도가 저하되기 때문에 HTTPS HTTP보다 느리다.

'SW > 데이터통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웹소켓 (Web Socket)  (0) 2017.09.05
HTTP header  (0) 2017.09.05
HTTP/2 (HyperText Transfer Protocol Version 2)  (0) 2017.09.05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 Protocol  (0) 2017.09.05
통신 프로토콜 (Protocol), OSI 7 계층  (0) 2017.09.05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 Protocol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


Hypertext HTML 전송하기 위한 통신규약을 의미한다


WWW 상에서 정보를 주고받을 있는 protocol이며, TCP UDP 사용하며 80 port 사용한다


Client Server 사이에 있는 request/response 프로토콜이다.


Client에서 Server 요청이 생기면 TCP hand-shake 일어나고 , get request( 브라우저가 문서를 받아 보는 사용되는 방법) server에서 처음으로 동작하게 되며, 이러한 과정은 모든 웹사이트에서 일어나는 행위이다.



'SW > 데이터통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웹소켓 (Web Socket)  (0) 2017.09.05
HTTP header  (0) 2017.09.05
HTTP/2 (HyperText Transfer Protocol Version 2)  (0) 2017.09.05
HTTPS (Hyper Text Transfer Protocol Secure)  (0) 2017.09.05
통신 프로토콜 (Protocol), OSI 7 계층  (0) 2017.09.05

통신 프로토콜 (Protocol), OSI 7 계층

Protocol

통신 장비 사이에서 data 주고 받는 통신 규약이다. 보통 OSI-7-LAYER 구분하는데, 계층에서 수행되는 protocol 서로 독립적이라고 간주한다.

 


OSI 7 Layer

OSI 7 Layer

Layer

Data unit

Function

Protocol

Host

Layer

7.apllication

Data

통신서비스

FTP,HTTP

6.presentation

압축, 암호화

H.264,MPEG2

5.session

전송방식 결정

Half-duplex

Full-duplex

4.transport

Segment(TCP)

Datagram(UDP)

에러/경로 제어

TCP, UDP

Media

Layer

3.network

Packet

논리주소/경로설정

RIP, BGP

2.datalink

Frame

물리주소/경로설정

ARQ

1.physical

Bit

전기신호제어

Physical

connection


'SW > 데이터통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웹소켓 (Web Socket)  (0) 2017.09.05
HTTP header  (0) 2017.09.05
HTTP/2 (HyperText Transfer Protocol Version 2)  (0) 2017.09.05
HTTPS (Hyper Text Transfer Protocol Secure)  (0) 2017.09.05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 Protocol  (0) 2017.09.05

객체지향 프로그래밍 (Object-Orientd-Programming, OOP)

객체지향 프로그래밍(OOP)


로직을 상태와 행위로 이루어진 객체로 만드는 것으로 여기서 객체란 변수와 메소드를 그룹핑한 것이다., 연관된 메소드와 그 메소드가 사용하는 변수들을 분류하고 그룹핑하는 것이다. 여기서 그룹핑 한 대상을 객체라고 한다. 중요목적은 재사용성이다.



추상화

복잡함 속에서 필요한 관점만을 추출하는 행위



캡슐화

내부의 동작 방법을 숨기고 사용자에게는 사용방법만을 노출하는 것이다.



인터페이스

어떤 객체가 있을 때 그 객체가 특정한 인터페이스를 사용한다면 그 객체는 반드시 인터페이스의 메소드를 구현해야 한다. 하나의 클래스가 여러 개의 인터페이스를 구현할 수 있으며, 인터페이스도 상속이 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의 멤버는 외부에서 제어할 수 있어야 하기 때문에 항상 public으로 구성한다. 다중상속과 같은 기능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해준다. 인터페이스는 추상메소드와 변수가 아닌 상수만을 소유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에서 변수를 사용하게 되면 상수화되기 때문에 상수 선언시 값초기화를 해주어야 한다. 이러한 인터페이스에는 추상메소드가 있기 때문에 반드시 오버라이딩을 해줘야 한다.



객체

서로 연관된 변수(property)와 함수(method)를 그룹핑한 것



클래스

연관되어 있는 변수와 메소드의 집합



상속

기존의 객체를 수정하지 않으면서 새로운 객체가 기존의 객체를 기반으로 만들어지게 되는 것으로 코드가 중복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일련의 클래스를 위한 공통규약을 정의한다.



Overriding

상속받은 부모의 메소드를 그대로 사용하지 않고 자신에 맞게 변경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매소드의 이름, 파라미터, 리턴 타입이 같아야 한다. 즉 상위 클래스에 있는 메소드와 완벽하게 일치해야 한다.



Overloading

이름은 같지만 시그니처를 다른 메소드를 중복으로 선언 할 수 있는 것으로 리턴유형이 달라도 되지만 리턴 유형만을 바꿀 순 없다.



추상클래스

상속을 강제화하기 위한 것. 부모 클래스는 메소드의 시그니처만 정의해놓고 그 메소드의 실제 동작 방법은 이 메소드를 상속 받은 하위 클래스의 책임으로 위임한다. 즉 선언만 되어있고 구현은 되어있지 않은 메소드를 추상 메소드라고 하는데 이를 하나라도 포함하게 되는 클래스를 추상클래스라고 한다.



인터페이스 vs 상속

상속은 상위 클래스의 기능을 하위 클래스가 물려 받는것이라고 한다면, 인터페이스는 하위 클래스에 특정한 메소드가 반드시 있도록 강제한다.



추상 vs 인터페이스

인터페이스는 클래스가 아닌 인터페이스라는 고유형태이고 추상 클래스는 일반적인 클래스이다. 또한, 인터페이스는 구체적인 로직이나 상태를 가지고 있을 수 없고, 추상 클래스는 구체적인 로직이나 상태를 가질 수 있다. 인터페이스와 추상클래스의 가장 큰 차이점은 인터페이스는 클래스가 아니라는 것, 추상메소드로만 이루어져 있다는 것이다.



다형성

하나의 메소드나 클래스가 존재할 때 이러한 것들이 다양한 방법으로 동작하는 것을 의미한다.

'SW > JAVA'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준알고리즘 8393번 java  (0) 2017.09.14
Eclipse 유용한 플러그인  (0) 2017.09.06
Eclipse 단축키 정리  (0) 2017.09.06
이클립스 설치된 플러그인 확인  (0) 2017.09.06

Factory Pattern (팩토리 패턴)

Factory Pattern



모든 factory pattern에서는 app의 구상 클래스에 대한 dependency를 줄여줘서 loose-coupling을 도와준다. 또한 Object 생성을 encapsulation 한다. 주로, Super-class와 다수의 sub-class가 있을 때 input을 기준으로 하나의 sub-class를 반환할 경우 사용한다. 구상 class가 아닌 추상 class/interface에 맞춰서 코딩할 수 있게 해주는 강력한 기법이다.

 


  Simple Factory

    디자인 패턴이라 할 수 없고, 자주 쓰이는 관용구라 할 수 있다. Client와 구상 class를 분리시키기 위한 간단한 기법으로 활용한다.

 


  Factory Method Pattern

    Object를 생성하기 위한 Interface를 정의하는데, Object를 생성하는 부분을 Sub-Class에 위임하는 pattern이다. ‘new’키워드를 호출하는 부분을 Sub-Class에 위임하는 것이다. 그 결과, class간의 결합도(class의 변경이 있을 경우, 다른 class에 영향을 주는 정도)가 떨어진다. SimpleFactory와의 차이점은 Factory Method Pattern은 어떤 구현을 사용할지를 sub-class에서 결정하는 framework를 만들 수 있다는 것이다. SimpleFactory에서도 Object생성을 Encapsulation하는 방법을 사용하긴 하지만 생성하는 제품을 마음대로 변경할 수 없기 때문에 Factory Method Pattern처럼 강력한 flexibility를 제공하지는 못한다.

 


  Abstract Factory Pattern

    Interface를 이용하여, 연관성이 있는 많은 sub-class를 특정 그룹으로 묶어 일괄적으로 수정할 수 있도록 하는 pattern이며, 제품을 추가하려면 Interface를 수정하면 된다. 예를 들어 특정 library를 배포하는데 국가마다 기능이 상이하다면 abstract factory pattern을 이용해서 일괄적으로 기능을 변경하여 대처할 수 있다.

 


●  Dependency Inversion Principle

   추상화된 것에 의존하도록 하고, 구상 클래스에 의존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


1.    어떤 변수에도 구상 클래스에 대한 reference를 지정하지 않는다(new 연산자를 사용하는 것이 reference를 사용하게 되는 것)

2.    구상 클래스에서 유도된 클래스를 만들지 않는다. (구상클래스에서 유도된 클래스를 만들면 특정 구상 클래스에 의존하게 된다. 추상화된 것을 사용해야 한다.)

3.    클래스에 이미 구현된 메소드를 override 하지 않는다. (이미 구현된 메소드를 override 한다는 것은 클래스가 제대로 abstract 되지 않았다고 할 수 있다. 클래스에 method를 정의할 때에는 모든 sub-class에서 공유할 수 있는 것으로 정의해야 한다.



 

구현


Decorator Pattern (데코레이터 패턴)

Decorator Pattern

 

정의

상속 또는 interface 이용하여 Type 맞춰 객체의 추가적인 요건을 동적으로 추가한다. 서브클래스(decorator class) 만드는 것을 통해서 기능을 유연하게 확장할 있는 방법을 제시한다. 중요한점은 Decorator 상속을 통해서 행동을 물려받는 것이 목적이 아니라는 것이다.

 


구성

1.    구성요소는 직접 쓰일 수도 있고 decorator 감싸져서 쓰일 있다.

2.    ConcreteComponent 새로운 행동을 동적으로 추가하게 된다.

3.    decorator 안에는 Component 객체가 들어있다.

4.    Decorator 자신이 decorate 구성요소와 같은 interface abstract class implement 한다.

5.    Decorator component 상태를 확장할 있다.

6.    ConcreteDecorator에는 Object decorate하고 있는 것을 위한 interface 변수가 있다.

7.    decorator에서 새로운 method 추가할 있다.

 

l  OCP (Open-Closed Principle) : class 확장에 대해서는 open 해야 하지만 코드 수정에 대해서는 close 해야 한다. 기존 코드는 건드리지 않은 채로 확장을 통해서 새로운 행동을 추가할 있도록 코드의 수정을 허용한다는 것으로 기능 추가에 유연하기에 튼튼한 디자인을 있다.


 

장점

1.    기존 코드를 수정하지 않고도 행동을 확장하는 방법이 된다.

2.    Composition delegate 통해서 실행 중에 새로운 행동을 추가할 있다.

3.    상속대신 decorator pattern 통해서 행동을 확장할 있다.

4.    OCP 충실하면서 유연한 디자인을 만들어 있다.

 


단점

1.    잡다한 클래스들이 많아 있다.

2.    객체가 다른 객체들로 쌓여 있을 있기 때문에 파악하기 힘들 있다.

3.    디자인 유연성 면에서는 좋지 않다.

 


구현 (Coffee 제조)


'SW > DesignPattern' 카테고리의 다른 글

Singleton Pattern (싱글턴 패턴)  (0) 2017.09.05
Factory Pattern (팩토리 패턴)  (0) 2017.09.05
Observer Pattern (옵저버 패턴)  (0) 2017.09.05
Strategy Pattern (스트레테지 패턴)  (0) 2017.09.05
DesignPattern이란? 왜쓰지?  (0) 2017.09.05

Observer Pattern (옵저버 패턴)

Observer pattern

 

정의

객체의 상태가 바뀌면 객체에 의존하는 다른 객체들이 자동으로 갱신되는 방식으로 객체들 간에 one-to-many 의존성을 정의한다. 객체의 상태 변화를 관찰하는 Observer들을 객체에 등록하여 상태 변화가 있을 경우 객체가 메소드를 통해 Observer들에게 알리는 Design pattern이다. 주로 분산 이벤트 핸들링을 구현하는데 사용하거나, 하나의 객체에 여러 개가 의존할 경우 사용하는 것이 대부분이다.

 

l  자바에는 java.util.Observable이라는 API 있다. 하지만 interface 아니라 class이기에 이미 다른 super class extends하고 있는 class에서는 사용할 없다는 점과, 직접 구현이 불가능하다는 단점이 존재한다. 그리고, 핵심 method(‘setChange()’) protected 선언이 되어있기때문에 해당 method 외부에서 사용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라는 단점이 있다.

 


조건

Loose-Coupling : 필요한 이유는 객체 간의 결합도가 높아질수록 유지보수는 힘들기 때문이다.  Loose-Coupling 특징으로는 주체가 observer 대해서 observer interface implement하고 있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있는 정보가 없다. Loose-Coupling 장점은 Observer 언제든지 추가할 있고, 새로운 Observer 해도 주체를 변경할 필요가 없으며 주체와 observer 독립적으로 사용할 있다. 또한 Observer 바뀌어도 서로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것이다.


 

구성

 2개의 역할을 하는 interface(subject, observer) 생성한다. subject라는 interface observer들을 관리하는 method들을 가진다. method들은 observer add, delete, notifyObserver 이렇게 3가지 역할을 한다. Observer interface 정보를 업데이트 해주는 update method 가진다. Subject implment class 정보를 제공하는 subject 되며 observer 객체들을 가진다. 그리고 observer interface implement class notifyObserver method 호출하면서 알려줄 때마다 update method 호출된다.

 


정리

1.    Observer pattern object state 바뀌면 해당 object 의존하는 다른 object들에게 신호를 보내고 자동으로 정보가 갱신되는 1:N 관계를 가진다.

2.    연결은 interface 이용하여 loose-coupling 유지한다.

3.    Observer pattern push 방식(주체 object에서 observer 데이터를 보내는 방식) pull 방식(observer에서 주체 object 데이터를 가져가는 방식)으로 언제든지 구현할 있다.

4.    JAVA에서는 Observable class Observer interface 제공한다.


 

구현 (팬관리)


Strategy Pattern (스트레테지 패턴)

Strategy Pattern

 

정의

어떤 동작을 하는 알고리즘을 정의하고 각각을 Encapsulation하고 Delegate를 통해서 어떤 행동을 할지 결정하는 패턴이다. Strategy pattern을 이용하면 알고리즘을 사용하는 client는 독립적으로 알고리즘을 변경할 수 있다. 상속보다는 구성을 이용한다. ‘AB보다는 ‘A B가 있다라는 패턴이다. 정리하자면, 하나의 결과를 만드는 목적은 동일하나, 그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방법이 여러가지 존재할 경우 기본이 되는 template method와 함께 많이 사용되는 패턴이다.

 


사용하기 좋은 경우

1.    행동만 조금씩 다를 뿐 관련된 class가 많을 때

2.    알고리즘의 변형이 필요할 때

3.    User가 몰라야 하는 data를 사용하는 알고리즘이 있을 때

4.    하나의 class가 많은 행동을 정의하고, 이런 행동들이 그 class의 연산 안에서 복잡한 조건문의 형태일 때

 

 

구성

1.    여러 개의 sort algorithm을 정의하고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적용한다.

2.    App에서 달라지는 부분을 찾아내어, 그렇지 않은 부분으로부터 분리한다.

3.    구현이 아닌 interface에 맞춘다.

4.    inheritance보단 composition을 활용한다.

 


장점

1.    알고리즘을 Encapsulation 시켰기 때문에 확장성이 좋다.

2.    프로그램이 실행 중에 알고리즘을 setting할 수 있다.

3.    로직을 독립적으로 관리하기 쉽다는 장점이 있다.

4.    코드의 중복을 줄일 수 있다.

 


단점

Strategy Object Context Object 사이 의사소통에 overhead가 있다.


    UML

   


'SW > DesignPattern' 카테고리의 다른 글

Singleton Pattern (싱글턴 패턴)  (0) 2017.09.05
Factory Pattern (팩토리 패턴)  (0) 2017.09.05
Decorator Pattern (데코레이터 패턴)  (0) 2017.09.05
Observer Pattern (옵저버 패턴)  (0) 2017.09.05
DesignPattern이란? 왜쓰지?  (0) 2017.09.05

DesignPattern이란? 왜쓰지?

Design Pattern

 

정의 

방식을 통해 SW 설계에서 얻은 세세한 경험들을 기록해 놓도록 하는 것으로 특정한 상황에서 구조적인 문제에 대한 해법이라 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anti-pattern이라는 것이 있는데, 이는 실제로 많이 쓰는 pattern이지만, 비효율적이고, 비생산적인 pattern을 뜻한다. 일반적으로 하나의 패턴에는 다음 4가지 요소가 들어가 있다.


1.    Pattern name은 한두 단어로 설계 문제와 해법을 서술한다.

A.     패턴의 이름을 정의해 두면 문서에서 이 이름을 사용하여 설계의 의도를 표현하기가 편리하다. 또한, 설계에 대한 생각이 쉽고, 개발자들 간의 communication이 원활해 진다.

2.    문제는 언제 패턴을 사용하는가를 서술하며 해결할 문제와 그 background를 설명한다

A.     어떤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객체를 생성할까와 같은 설계의 세세한 문제를 설명할 수 있다.

3.    Solution은 설계를 구성하는 요소와 그 요소들 사이의 관계들의 책임, 협력 관계를 서술한다.

A.     어떤 구체적인 설계와 구현을 설명하는 것은 아니다. 그 이유는 pattern은 다양한 경우에 적용할 수 있는 template이기 때문이다. Design pattern은 구체적인 부분이 아닌 추상적인 설명을 주고 해결하기 위한 클래스와 객체들의 열거 방법을 제시한다.

4.    결과는 design pattern을 통해 얻을 수 있는 결과와 장점, 그리고 단점을 서술한다.

A.     설계를 결정할 때에는 설계의 결과를 고려하여야 한다. 여기서 결과는 시공간의 효율을 중요한 요소로 볼 것인지에 따라서 다른 설계 방법을 택해야 한다. ReuseOOP설계의 주요소이기 때문에 pattern의 결과는 system의 유연성, 이식성, 확장성 등에 큰 영향을 끼친다.

 


디자인 패턴이 필요한 이유

1.    코드가 명확하고 가독성이 좋아진다.

2.    모듈(class, function, etc.)은 한가지 기능만 하도록 세분화 된다.

3.    재사용성이 높아진다.

4.    유지보수가 쉬워진다.

5.    리소스의 낭비가 적어진다.

'SW'에 해당되는 글 120건

1 ··· 9 10 11 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