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ta link layer (데이터링크층)

1      데이터링크층


1.1  서비스항목 (프레임 짜기, 흐름 제어, 오류 제어, 혼잡 제어 => frame + control)


프레임 짜기 : 각 노드에서 데이터링크층은 다음 노드에게 데이터그램을 전송하기 전에 네트워크층에서 전달받은 패킷인 다이어그램을 프레임에서 캡슐화 해야한다.

흐름제어 : /수신자의 전송능력 차이를 극복


     오류제어


호납제어 : layer2에서 혼잡제어는 포함되지 않는다.


1.2  세 종류의 주소 (windows – ipconfig/all, unix - %ifconfig -a) ->유니캐스트, 멀티캐스트, 브로드캐스트 3종류


유니캐스트 주소 : LAN ETHERNET에서의 유니캐스트 링크계층주소(48bit) ex) A3:34:45:11:92:F1 A3 1byte 1byte6개니까 48bit


1.2.1       주소변환 프로토콜(ARP, Address Resolutuon Protocol) -> 32bit(3계층 IP주소)48bit(2계층MAC주소) 변경


반대는 RARP(MAC주소 -> IP주소)

'SW > 데이터통신' 카테고리의 다른 글

Switching (교환)  (0) 2017.09.05
전송매체  (0) 2017.09.05
주파수 분할 다중화, 반송파  (0) 2017.09.05
아날로그 전송  (0) 2017.09.05
물리층 (Physical layer, OSI-7-Layer  (0) 2017.09.05

물리층 (Physical layer, OSI-7-Layer


1      물리층 개요


1.1  데이터와 신호


1.1.1       아날로그와 디지털 데이터


아날로그 데이터 : 연속인 정보


디지털 데이터 : 이산 값을 갖는 정보


1.1.2       아날로그와 디지털 신호


아날로그 신호 : 연속적인 파형


디지털 신호 : 이산적(1, 0)인 제한된 수의 정의된 값만을 가질 수 있다.


1.2  위상 : 시각 0시에 대한 파형의 상대적인 위치를 기술


1.3  디지털 신호


1.3.1       비트율 : 시간당 비트 간격의 개수(bps(bits per second)로 표현)


1.3.2       비트 길이(bit length) : 비트 길이는 한 비트가 전송 매체를 통해 차지하는 길


1.3.3       디지털 신호의 전송


1.3.3.1    기저대역 전송 : 기저대역(baseband)전송이란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바꾸지 않고 있는 그

대로 채널을 통해 전송하는 것


1.3.3.2    광대역 전송 : 광대역(broadband)전송이란 디지털 신호를 전송하기 위해 아놀로그 신호로 전환


Broadband : 다양한 종류의 signal을 보냄


Baseband :
한 종류의 signal을 전송하는데 쓰임


1.4  전송장애


1.4.1       감쇠 : 에너지 손실을 의미하며 데시벨이라는 감쇠의 단위가 있다


1.4.2       일그러짐 : 신호의 모양이나 형태가 변하는 것을 의미


1.4.3       잡음 : 여러 형태의 잡음으로 신호를 변형시킴


SNR(
신호--잡음 비) = signal power/noise power 으로 클수록 좋다


1.5  데이터 전송률의 한계


1.5.1       무잡음 채널 : 나이퀴스트 비트율 : 나이퀴스트가 무잡음채널에서 전송률의 한계 계산


1.5.2       잡음 채널 : 섀넌 용량 Capacity = bandwidth * log_2 (1+SNR)


1.6  성능


1.6.1       대역폭(Bandwidth) : 헤르츠 단위와 비트율 단위가 있다


헤르츠 단위 : 복합 신호의 주파수 영역이나 채널이 통과시킬 수 있는 주파수 영역(Hz)


비트율 단위 : 채널 또는 링크의 비트 전송 속도(bps)


1.6.2       처리율(throughput) : 어떤 지점은 데이터가 얼마나 빠르게 지나가는가를 측정


1.6.3       지연(latency, delay) : 전체 메시지가 모두 목적기에 도착할 때까지 소요된 시간


지연 : 전파시간 + 전송시간 + 큐시간 + 처리시간


전파시간 : 비트가 발신지로부터 목적지까지 이동하는데 소요되는 시간(거리/전파속도)


전송시간 : 첫 번째 비트가 먼저 떠나 먼저 도착하고 마지막 비트는 뒤에 떠나 뒤에 도착


마지막 비트가 도착하기까지 걸리는 시간 (메시지크기/대역폭)


큐시간 : Packet 교환망의 특징(Store and forward)적인 delay로 장치들이 메시지를 처리하기 전까지 메시지를 가지고 있는 시간


1.6.4       대역폭-지연 곱(bandwidth*delay) : 대역폭과 지연은 링크의 두 가지 성능 지표


링크를 채울 수 있는 비트 개수를 의미


1.6.5       파형 난조(jitter) : 지연과 연관된 또 다른 성능으로 volume = bandwidth*delay


디지털 전송


1.7  디지털--디지털 변환 : 회선 부호화, 블록 부호화, 스크램블링


1.7.1       회선 부호화(line coding) : digital data -> digital signal로 전송층에서는 부호화, 수신측에서는 복호화


데이터 전송률 : 1초당 전송된 데이터 요소의 개수


신호 전송률 : 1초당 전송된 신호 요소의 개수


1.8  아날로그--디지털 변환 : 펄스 코드 변조, 델타 변조


1.8.1       펄스 코드 변조 :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데이터로 바꾸는 가장 많이 쓰는 방법


1.8.2       델타 변조 : 간단한 방법


1.9  전송 방식 : 병렬 방식(여러 개의 비트들이 매 클록 펄스에 따라 함께 보내진다.


,
직렬 방식 : 매 클록 펄스마다 하나의 비트를 보내며 동기식, 비동기식, 등시식 3개의 방법이 있으며 하나의 채널만이 필요하다. 등시식 전송은 정해진 시간에 데이터가 도착하는 것을 보장


'SW > 데이터통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파수 분할 다중화, 반송파  (0) 2017.09.05
아날로그 전송  (0) 2017.09.05
OSI-7-Layer (OSI 7계층)  (0) 2017.09.05
네트워크 물리적 구조  (0) 2017.09.05
data flow (데이터 흐름방향)  (0) 2017.09.05

OSI-7-Layer (OSI 7계층)

Application

 

Message, Data

HTTP,FTP,SMTP

 

 

Application

 

Host to host

Presentation

JPG,MPEG,AFP

 

Session

SSH

 

Transport

Segment, datagram

TCP, UDP

 

Transport

Process to process

Network

Packet

IP,RIP,ICMP

gateway

Network

Host to host

Data Link

Frame

Ethernet,PPP

Router

Data link

Hop to hop(node)

Physical

bit

RS-232

Hub,repeater

Physical

Hop to hop(node)

OSI model

(7 layer)

Data Unit

Protocol

Device

TCP/IP

(5 layer)

 

(Host = node = end = hop)


발신지 호스트는 응용층에서 메시지를 생성하고 그것을 아래 계층들에게 Encapsulation하여 아래 층으로 보내서 Dest.로 송신, Dest1계층부터 상위 계층으로 decapsulation하여 도착(각 계층의 프로토콜에 맞는 포맷으로 보냄.

'SW > 데이터통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날로그 전송  (0) 2017.09.05
물리층 (Physical layer, OSI-7-Layer  (0) 2017.09.05
네트워크 물리적 구조  (0) 2017.09.05
data flow (데이터 흐름방향)  (0) 2017.09.05
데이터 통신 구성요소 (용어정리)  (0) 2017.09.05

'Layer'에 해당되는 글 3건

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