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송매체

1  전송 매체(transmission medium)은 발신지로부터 목적지로 정보를 전달할 수 있는 것


1.2  유도매체(guided media, wired media) : 한 장치에서 다른 장치로 가는 통로를 제공


(
꼬임쌍선twisted-pair cable, 동축 케이블(coaxial cable), 광섬유케이블(optical cabel)로 구성)


1.2.1       꼬임쌍선 케이블 : 전선을 꼬음으로써 균형이 유지 -> 잡음을 줄임


1.2.1.1    비차폐(UTP, unshielded twisted pair) 대 차폐 꼬임쌍선(STP, shielded twisted pair)


STP
IBM외에는 잘 사용하지 않음(금속 덮개가 필요하여 비쌈)


연결구 : 가장 흔한 UTP연결구는 RJ45전화선(DSL)에 사용


1.2.2       동축 케이블 : bandwidth가 넓어서 많은 data전송 가능


동축 케이블 표준 : 무선국(RG, radio government)에 의해 분류


동축 케이블 연결구


이더넷 LAN에 사용


1.2.3       광섬유 케이블 : 유리나 플라스틱으로 만드는 광섬유는 빛의 형태로 신호를 전송


채널을 통해 빛을 유도하기 위해 반사를 사용 중심부(core)은 더 낮은 밀도의 유리나 플라스틱 피복

으로 둘러싸여 있다.
전파방식 : 다중모드와 단일모드가 있으며 다른 물리적 특성을 가진 섬유를 필요로 함


다중모드 : LED를 사용하여 LAN에 적용     단일모드 : LASER를 사용하여 백본에 적용


광섬유 케이블 연결구 : 가입자채널연결구(SC), 직립단자연결구(ST)


광섬유는 흔히 백본 망에 사용되는데 광섬유의 넓은 대역폭이 비용에 있어 효과적이여서


100Base-Fx
네트워크, 1000BASE-X같은 LAN에서 사용


1.3 비유도 매체 : 무선 : 물리적 도선을 사용하지 않고서 전자기 신호를 전송(무선통신)


3kHz ~ 900THz에 걸친 스펙트럼을 보임


비유도 신호는 발신지에서 목적지까지 몇 가지 방식으로 전파될 수 있음


지표면 전파, 공중 전파, 가시선 전파


1.3.1       라디오파(radio wave + micro wave) : 3kHz ~ 300GHz – 전방향 안테나 사용


1.3.2       마이크로파 : 단방향안테나로 이동되며 가시선 전파이다


1.3.3       적외선 : 300GHz ~ 400TGHz 주파수로 단거리 통신(리모콘)


'SW > 데이터통신' 카테고리의 다른 글

data link layer (데이터링크층)  (0) 2017.09.05
Switching (교환)  (0) 2017.09.05
주파수 분할 다중화, 반송파  (0) 2017.09.05
아날로그 전송  (0) 2017.09.05
물리층 (Physical layer, OSI-7-Layer  (0) 2017.09.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