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송매체

1  전송 매체(transmission medium)은 발신지로부터 목적지로 정보를 전달할 수 있는 것


1.2  유도매체(guided media, wired media) : 한 장치에서 다른 장치로 가는 통로를 제공


(
꼬임쌍선twisted-pair cable, 동축 케이블(coaxial cable), 광섬유케이블(optical cabel)로 구성)


1.2.1       꼬임쌍선 케이블 : 전선을 꼬음으로써 균형이 유지 -> 잡음을 줄임


1.2.1.1    비차폐(UTP, unshielded twisted pair) 대 차폐 꼬임쌍선(STP, shielded twisted pair)


STP
IBM외에는 잘 사용하지 않음(금속 덮개가 필요하여 비쌈)


연결구 : 가장 흔한 UTP연결구는 RJ45전화선(DSL)에 사용


1.2.2       동축 케이블 : bandwidth가 넓어서 많은 data전송 가능


동축 케이블 표준 : 무선국(RG, radio government)에 의해 분류


동축 케이블 연결구


이더넷 LAN에 사용


1.2.3       광섬유 케이블 : 유리나 플라스틱으로 만드는 광섬유는 빛의 형태로 신호를 전송


채널을 통해 빛을 유도하기 위해 반사를 사용 중심부(core)은 더 낮은 밀도의 유리나 플라스틱 피복

으로 둘러싸여 있다.
전파방식 : 다중모드와 단일모드가 있으며 다른 물리적 특성을 가진 섬유를 필요로 함


다중모드 : LED를 사용하여 LAN에 적용     단일모드 : LASER를 사용하여 백본에 적용


광섬유 케이블 연결구 : 가입자채널연결구(SC), 직립단자연결구(ST)


광섬유는 흔히 백본 망에 사용되는데 광섬유의 넓은 대역폭이 비용에 있어 효과적이여서


100Base-Fx
네트워크, 1000BASE-X같은 LAN에서 사용


1.3 비유도 매체 : 무선 : 물리적 도선을 사용하지 않고서 전자기 신호를 전송(무선통신)


3kHz ~ 900THz에 걸친 스펙트럼을 보임


비유도 신호는 발신지에서 목적지까지 몇 가지 방식으로 전파될 수 있음


지표면 전파, 공중 전파, 가시선 전파


1.3.1       라디오파(radio wave + micro wave) : 3kHz ~ 300GHz – 전방향 안테나 사용


1.3.2       마이크로파 : 단방향안테나로 이동되며 가시선 전파이다


1.3.3       적외선 : 300GHz ~ 400TGHz 주파수로 단거리 통신(리모콘)


'SW > 데이터통신' 카테고리의 다른 글

data link layer (데이터링크층)  (0) 2017.09.05
Switching (교환)  (0) 2017.09.05
주파수 분할 다중화, 반송파  (0) 2017.09.05
아날로그 전송  (0) 2017.09.05
물리층 (Physical layer, OSI-7-Layer  (0) 2017.09.05

아날로그 전송

1      아날로그 전송


1.1  디지털--아날로그 전송 : ASK(진폭 변이 변조), FSK(주파수 변이 변조), QAM(구상 진폭 변조)


비트 전송률은 초당 비트수, 보율(baud)은 초당 신호 단위의 수이며 디지털 데이터의 아날로그 전송의 경우 보율은 비트 전송률과 같거나 적다


S=n*1/r baud (S=
신호요소의 수, 보율(n), N=데이터 전송률(bps), r=한 개의 신호요소에 전달되는 데이터 요소의 개수)


1.2  아날로그--아날로그 변환 : 진폭변조(AM), 주파수변조(FM), 위상변조(PM) 3개의 방법


1.2.1       진폭변조(AM)라디오의 대역: 오디오 신호의 대역폭은 4kHz -> 최소 10kHz대역폭 필요


1.2.2       주파수변조(FM)라디오의 대역 : 15kHz(스테레오), 방송국은 (88MHz~108MHz)


1.2.3       위상변조(PM) : 최대 진폭과 주파수는 유지, 입력 신호의 진폭이 바뀜에 따라 위상 변경


 

'SW > 데이터통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송매체  (0) 2017.09.05
주파수 분할 다중화, 반송파  (0) 2017.09.05
물리층 (Physical layer, OSI-7-Layer  (0) 2017.09.05
OSI-7-Layer (OSI 7계층)  (0) 2017.09.05
네트워크 물리적 구조  (0) 2017.09.05

물리층 (Physical layer, OSI-7-Layer


1      물리층 개요


1.1  데이터와 신호


1.1.1       아날로그와 디지털 데이터


아날로그 데이터 : 연속인 정보


디지털 데이터 : 이산 값을 갖는 정보


1.1.2       아날로그와 디지털 신호


아날로그 신호 : 연속적인 파형


디지털 신호 : 이산적(1, 0)인 제한된 수의 정의된 값만을 가질 수 있다.


1.2  위상 : 시각 0시에 대한 파형의 상대적인 위치를 기술


1.3  디지털 신호


1.3.1       비트율 : 시간당 비트 간격의 개수(bps(bits per second)로 표현)


1.3.2       비트 길이(bit length) : 비트 길이는 한 비트가 전송 매체를 통해 차지하는 길


1.3.3       디지털 신호의 전송


1.3.3.1    기저대역 전송 : 기저대역(baseband)전송이란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바꾸지 않고 있는 그

대로 채널을 통해 전송하는 것


1.3.3.2    광대역 전송 : 광대역(broadband)전송이란 디지털 신호를 전송하기 위해 아놀로그 신호로 전환


Broadband : 다양한 종류의 signal을 보냄


Baseband :
한 종류의 signal을 전송하는데 쓰임


1.4  전송장애


1.4.1       감쇠 : 에너지 손실을 의미하며 데시벨이라는 감쇠의 단위가 있다


1.4.2       일그러짐 : 신호의 모양이나 형태가 변하는 것을 의미


1.4.3       잡음 : 여러 형태의 잡음으로 신호를 변형시킴


SNR(
신호--잡음 비) = signal power/noise power 으로 클수록 좋다


1.5  데이터 전송률의 한계


1.5.1       무잡음 채널 : 나이퀴스트 비트율 : 나이퀴스트가 무잡음채널에서 전송률의 한계 계산


1.5.2       잡음 채널 : 섀넌 용량 Capacity = bandwidth * log_2 (1+SNR)


1.6  성능


1.6.1       대역폭(Bandwidth) : 헤르츠 단위와 비트율 단위가 있다


헤르츠 단위 : 복합 신호의 주파수 영역이나 채널이 통과시킬 수 있는 주파수 영역(Hz)


비트율 단위 : 채널 또는 링크의 비트 전송 속도(bps)


1.6.2       처리율(throughput) : 어떤 지점은 데이터가 얼마나 빠르게 지나가는가를 측정


1.6.3       지연(latency, delay) : 전체 메시지가 모두 목적기에 도착할 때까지 소요된 시간


지연 : 전파시간 + 전송시간 + 큐시간 + 처리시간


전파시간 : 비트가 발신지로부터 목적지까지 이동하는데 소요되는 시간(거리/전파속도)


전송시간 : 첫 번째 비트가 먼저 떠나 먼저 도착하고 마지막 비트는 뒤에 떠나 뒤에 도착


마지막 비트가 도착하기까지 걸리는 시간 (메시지크기/대역폭)


큐시간 : Packet 교환망의 특징(Store and forward)적인 delay로 장치들이 메시지를 처리하기 전까지 메시지를 가지고 있는 시간


1.6.4       대역폭-지연 곱(bandwidth*delay) : 대역폭과 지연은 링크의 두 가지 성능 지표


링크를 채울 수 있는 비트 개수를 의미


1.6.5       파형 난조(jitter) : 지연과 연관된 또 다른 성능으로 volume = bandwidth*delay


디지털 전송


1.7  디지털--디지털 변환 : 회선 부호화, 블록 부호화, 스크램블링


1.7.1       회선 부호화(line coding) : digital data -> digital signal로 전송층에서는 부호화, 수신측에서는 복호화


데이터 전송률 : 1초당 전송된 데이터 요소의 개수


신호 전송률 : 1초당 전송된 신호 요소의 개수


1.8  아날로그--디지털 변환 : 펄스 코드 변조, 델타 변조


1.8.1       펄스 코드 변조 :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데이터로 바꾸는 가장 많이 쓰는 방법


1.8.2       델타 변조 : 간단한 방법


1.9  전송 방식 : 병렬 방식(여러 개의 비트들이 매 클록 펄스에 따라 함께 보내진다.


,
직렬 방식 : 매 클록 펄스마다 하나의 비트를 보내며 동기식, 비동기식, 등시식 3개의 방법이 있으며 하나의 채널만이 필요하다. 등시식 전송은 정해진 시간에 데이터가 도착하는 것을 보장


'SW > 데이터통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파수 분할 다중화, 반송파  (0) 2017.09.05
아날로그 전송  (0) 2017.09.05
OSI-7-Layer (OSI 7계층)  (0) 2017.09.05
네트워크 물리적 구조  (0) 2017.09.05
data flow (데이터 흐름방향)  (0) 2017.09.05

'전송'에 해당되는 글 3건

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