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TWORK (네트워크)

네트워크


프로토콜이란 컴퓨터와 컴퓨터 사이에서 데이터를 어떻게 주고받을 것인지를 정의한 통신규약


컴퓨터의 주소는 MAC, IP, 호스트 명 이 있다


MAC주소 : 6개의 16진수 (48비트) 제조사번호, 일련번호로 구성


IP주소 : 네트워크부분(네트워크 구분), 호스트 부분(해당 네트워크에서 컴퓨터 식별)으로 구성


호스트 명 : www(호스트 부분) naver.com(네트워크 부분)


포트번호 : 각 서비스를 구분하는 번호



Netstat : 네트워크 상태 정보 출력하기


o -a : 모든 소켓 정보를 출력한다.


o -r : 라우팅 정보를 출력한다.


o -n : 호스트 명 대신에 IP 주소를 출력한다.


o -i : 모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정보를 출력한다.


o -s : 프로토콜별로 네트워크 통계 정보를 출력한다.


o -p : 해당 소켓과 관련된 프로세스의 이름과 PID를 출력한다


 

호스트 이름 확인하기 : hostname, uname -n



Uname : 시스템 정보 출력


o -m : 하드웨어 종류를 출력한다.


o -n : 호스트 이름을 출력한다.


o -r : 운영체제의 릴리즈 정보를 출력한다


o -s : 운영체제의 이름을 출력한다.


o -v : 운영체제의 버전을 출력한다.


o -a : 위의 모든 정보를 출력한다.

 


 

원격 접속하여 파일 송수신 하는 서버 : 텔넷, SSH, FTP


텔넷 : 원격에서 리눅스에 접속하는 프로그램의 이름(서버와 클라이언트 필요) -> xinetd에 의해 동작(open 접속 quit 종료)


SSH : 텔넷과는 달리 모든 통신을 암호화한다 (SSH 데몬 필요)


FTP => vsFTPD(리눅스 FTP 서버)


Get : 파일 하나를 호스트로 가져온다. Mget : 여러 개의 파일을 가져온다


Put : 파일 한 개를 호스트로 보낸다. Mput : 여러 개의 파일을 보낸다.


Hash : 송수신이 진행되고 있는지 표시 bye : 접속 종료

'SW >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Server & Client  (0) 2017.09.05
IPC (Inter Process Communication)  (0) 2017.09.05
GDB  (0) 2017.09.05
버전관리, SVN  (0) 2017.09.05
GCC compiler (내부 매크로, Makefile)  (0) 2017.09.05

DHCP(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

DHCP(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



IP address 비롯한 각종 TCP/IP protocol 기본 설정을 개별 client들에게 자동적으로 할당하는 protocol이다.


기본적으로 TCP/IP 설정을 자동으로 관리하며, 개별 시스템에 대해서 IP address 관련된 설정 정보를 준다.


구성으로는 DHCP Client Server 되어있다.

'SW > 데이터통신' 카테고리의 다른 글

data flow (데이터 흐름방향)  (0) 2017.09.05
데이터 통신 구성요소 (용어정리)  (0) 2017.09.05
TCP/UDP  (0) 2017.09.05
IP (Internet Protocol)  (0) 2017.09.05
SOAP (Simple Object Access Protocol)  (0) 2017.09.05

'Host'에 해당되는 글 2건

1 →